예수원칼럼

손대접을 힘쓰라


토요 새벽에 나눈 말씀을 요약합니다.... 넓은 의미에서 손대접이란 상대방을 섬기는 모든 친절한 행위를 말합니다. 가장 직접적이고 대표적인 것은 초대하여 음식으로 섬기는 손님 대접입니다.

기독교윤리학자 크리스틴 폴은 손대접을 두고 모든 실천의 통합이라고 표현했습니다. 손대접은 초대교회시절에서부터 그리스도인들의 아주 중요한 선행이자 그리스도인들의 특징이었습니다. 왜 이렇게 손대접이 좋았는고 하면, 신자들에게 손대접은 도덕에 속한 것으로 알고 실천했기 때문입니다. 즉, 손 대접을 하는 것은 신자다운 것이고, 당연한 것인데, 손대접을 하지 못함은 거짓말하는 것처럼 나쁜 것이라는 도덕 가치를 가지고 있었다는 뜻입니다.

손대접의 기본 자세는 마 7:12절에 있습니다. 남에게 대접을 받고자 하는만큼 너도 남을 [정성껏] 대접하는 것입니다. 인색한 자의 대접은 초대 받은 자 입장에서는 괴롭습니다. 형편을 따라 하되, 라면 한 그릇이라도 정성스러운 마음이 들어가 있음을 알게 될 때, 환대의 기쁨을 누릴 수 있습니다!!

크리스틴 폴은 말합니다. “손대접은 하나님의 은혜로부터 나오며 손대접을 통해 하나님이 보여 주신 환대에 반응하는 것이다.” 기가 막힌 표현입니다. 누군가에게 대접 받고나서 “다음 번엔 제가 사겠습니다” 라고 하면서 약속을 합니다. 우리 신자들은 십자가의 그 놀라운 은총을 받은 감격의 반응을 이웃을 섬김는 손대접으로 주님께 간접 표현한다는 것입니다.

한편, 손대접은 감사에 뿌리를 내리고 있지 않으면 원망으로 바뀔 수 있다고 합니다. 손님들이 항상 고마워하는 것도 아니고, 또 아무리 대접을 해도 상대방은 받기만 할 뿐, 큰 변화가 보이기 않을 때 시험에 들기 쉽기 때문입니다. 이럴 때 폴은 자신이 하나님께로부터 이미 받은 풍성한 대접을 기억해 봄으로써 극복해 내야 한다고 말합니다. 결국 믿음이 치료제라는 뜻입니다.

1. 신자의 손대접의 기본은 상호성, 즉 서로 섬김입니다. 받기만 하는 입장에서 함께 베푸는 자로 변화되어 가야 합니다. 먼저 베풀지는 못해도 함께 베푸는 자로 자라나야 합니다. 각자의 형편상, 매번 반응할 수는 없고, 상대방의 손대접의 수준에 맞출 수도 없습니다. 형편껏 .마.음. 담.아. 섬기는 베풂이 가장 중요합니다. 2. 서로 베풀어야 겠지만 그럼에도 교회의 지도자들과 신앙의 선배들이 먼저 베풂의 자리에 서야 합니다. 3. 갚을 길 없는 자들에게까지 원망없이 감사함으로 베푸는 자들이 되도록 섬김의 범위를 확장해 가야 합니다.

가정교회의 본부교회인 휴스턴 침례교회는 목자를 선정하는 기준이 간단합니다. 첫째 구원의 확신이 있는가? 둘째 손대접 잘하는 분인가? 이 2가지를 가지고 목자를 고릅니다. 상당히 의미있다고 보여집니다. 즉 손대접은 그 사람의 섬김을 확인할 수 있는 아주 중요한 샘플이 되기 때문입니다.

마지막으로, 우리 교회에서 이런 모습들은 사라지기를 바랍니다:                                      (1) 서로 안 주고 안 받기, (2) 받기만 하기, (3) 베풀고 원망하기...

"손 대접하기를 힘쓰라.” “대접을 받고자 하는데로 남을 대접하라”는 예수님의 말씀을 항상 기억하십시다. 손대접을 예수님 은혜의 보답이며, 도덕으로 이해하고 실천했던 초대교회를 본받아 손대접 풍성한 예수원 공동체가 될 수 있기를 바랍니다.
댓글목록

TOP